본문 바로가기

명상

걷기 명상 방법

걷기 명상 방법

걷기 명상은 마음 챙김 명상 방법의 하나로 걸으면서 변화되는 신체적 감각이나 느낌을 알아차리는 명상이다. 걸으면서 내가 걷고 있음을 알아차리는 것으로 현재 걷고 있는 순간만을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한 결음, 한 걸음을 느끼고 알아차리는 것이다. 자신의 걸음에 집중하며 자신이 어떻게 걷고 있는지를 집중해서 살펴보고 알아차린다. 자신의 발이 땅에 닿는 것을 느끼고 발과 땅 사이의 접촉을 느끼고 알아차리면서 걸어보는 것이다. 걷기 명상을 경행이라고도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느끼며 알아차려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마하시 사야도의 위빠사나 수행방법을 참고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행을 할 때 발에 마음을 집중하여 '간다'로 생각하며 알아차린다. 혹은 오른발, 왼발로 알아차린다. 그렇지 않으면 든다. 간다. 내린다로 알아차린다. 발을 들면 어릿어릿하게 들리는 것의 시작부터 들림이 끝날 때까지 마음이 대상에 집중하여 붙어서 따라갈 수 있는지, 없는지, 따라갈 수 있다면 무엇이 보이는지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들고 있는 순간에 다리가 보이는지, 들리는 모습이 보이는지, 그렇지 않으면 어떤 특성 한 가지가 보이는지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가볍게 올라가는가? 무거워지는가? 뻣뻣해지는가? 발을 미는가? 등 어떻게 되는지를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모양의 물질, 상태의 물질, 본질의 물질 이 세 종류 중에서 어떤 한 가지를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것들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제대로 집중해야 한다. 

 

간다로 알아차릴 때면 가는 것의 시작부터 가는 것의 끝까지 집중해서 대상에 붙어 따라갈 수 있는지, 없는지, 따라갈 수 있다면 어떠한 특성을 아는지, 다리를 아는지, 가는 모습을 아는지, 그렇지 않으면 가는 순간에 어떤 특성을 아는지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발을 내리는 것을 알아차릴 때에도 어릿어릿하게 내려가는 것부터 한 번에 쭉 집중하여 마루나 땅에 머무를 때까지, 멈출 때까지 붙어 따라가며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붙어서 따라가며 알아차림 할 때 처음부터 끝까지 쭉 따라갈 수 있는지, 없는지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갈 수 있다면 이 대상 위에 마음이 도달하고 있는 것이다. 대상에 마음이 도달하면 무엇을 아는지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다리를 아는지, 내리는 모습을 아는지, 상태를 아는지, 무겁고 가볍고 부드럽고 뻣뻣하고 긴장되는 어떤 한 가지를 아는지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걷기 명상을 하며 걸으면서 동작 하나하나를 느끼며 집중할 수 있게 되고 몸과 걸어가는 걸음을 전체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