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상

마하시 사야도의 위빠사나 수행법

마하시 사야도의 위빠사나 수행법

위빠사나 수행이란 자기 안에 존재하고 있는 물질 현상들과 정신 현상들을 사실대로 바르게 알기 위해서 수행하는 것이다. 물질 현상이란 지금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것들이다. 분명하게 볼 수 있는 몸 전체가 물질의 집합, 즉 물질 현상들이다. 정신 현상이란 알고 있는 마음이다. 이러한 물질과 정신 현상들은 사물을 볼 때마다 분명하게 생겨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물질과 정신 현상들을 바르게 알 수 있도록 주시하고 알아차려야 한다. 주시하고 알아차린다는 것은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지혜롭게 집중해서 대상에 마음을 두는 것, 꿰뚫는 것을 말한다.

 

소리가 귀에 들릴 때마다 들림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코에서 냄새를 맡을 때에도 냄새 맡음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혀에서 맛을 알 때에도 앎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몸에 닿을 때에도 닿음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상상하고 생각하고 계획할 때마다 역시 상상함, 생각함, 계획함 등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그러나 수행 초기에는 볼 때마다 들을 때마다, 알 때마다 모두 알아차릴 수 없다. 그래서 분명하게 알기 쉬운 대상부터 시작해서 알아차려야 한다. 숨 쉬는 것부터 시작하여 주시해야 한다. 이것을 주시할 수 있도록 우선 배에 마음을 고정해서 보고 있어야 한다. 숨을 들이쉴 때 배가 불러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숨을 내쉴 때 배가 꺼져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배가 불러오는 것을 부름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배가 꺼져가는 것을 꺼짐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호흡을 느리게 하기 위해서 숨을 참지도 말고, 호흡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노력하지 말고 평상시 숨 쉬는 대로 자연스럽게 숨 쉬어야 한다.

 

이렇게 알아차리고 있자면 마음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갈 때도 있다. 이렇게 빠져나가는 마음도 따라가서 알아차려야 한다. 이러한 마음을 빠져나감으로 알아차린다. 이렇게 한 두 번쯤 알아차리면 더 이상 마음이 빠져나가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면 배가 부름, 꺼짐으로 다시 호흡을 알아차리면 된다.

 

핵심은 그것이 무엇이건 간에 상상이나 계획들이 생겨날 때마다 따라가서 알아차리는 것뿐이다. 알아차리는 방법은 상상하면 상상함으로 알아차리고, 생각하면 생각함으로 알아차린다. 계획하면 계획함으로, 알면 앎으로, 생각이 떠올리면 떠올림으로 알아차린다. 지루할 때도 지루함으로 알아차리고, 기쁠 때에는 기쁨이라고 알아차린다. 실망할 때에도 실망함으로 알아차린다. 이와 같이 생각들이 생겨날 때마다 마음을 반복하여 주시하고 알아차린다.

 

이렇게 마음이 생겨날 때마다 보지 못하고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 마음을 사람 또는 존재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상상하고 있는 것이 나다. 내가 생각하고 있다. 내가 계획하고 있다. 내가 알고 있다. "라고 여긴다. 어린아이 때부터 지금까지 살아온 나라는 자아가 정말 존재한다고 여긴다.

 

실제로는 나 또는 자아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나씩, 하나씩,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마음만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씩, 하나씩 찰나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는 마음을 자기 스스로 깨닫기 위해서 주시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마음들이 생겨날 때마다 알아차려야 한다. 이 마음은 알아차리기만 하면 쉽게 사라진다. 그러면 다시 호흡을 알아차리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