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상

(19)
명상 중 과거에 안 좋은 일이나 부정적 감정이 떠오를 때? 명상 중에 과거에 안 좋은 일이나 부정적 감정이 떠오를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명상을 하다 보면 과거에 일이 떠올라 괴로운 감정이 들 때가 있다. 그리고 안 좋은 생각이 날 수도 있다. 그럴 때는 그냥 관조하는 것처럼 마음속에서 올라오는 안 좋은 감정이나 좋지 않은 기억을 그저 지켜보고 관찰하는 것이다. 내 마음속에 안 좋은 기억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때 그 기억이 아직 남아있구나 하고 바라본다. 영화를 보듯이 제삼자의 관점에서 지켜보고 바라보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순간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오더라도 그것을 알아차리는 순간 마음이 좀 더 차분해질 것이다. 좋지 않은 기억들이 떠오르면 내가 겪은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제삼자적 관점에서 영화를 보듯이 지켜보면 올라오는 감정이나 기억들에 대해 객관..
깨달음과 중도사상-중도 뜻? 불교 중도 의미? 중도란? 깨달음과 중도사상-중도 뜻? 불교 중도 의미? 중도란? 중도는 불교에서 어느 것에도 치우치지 않는 절대적인 진실의 도리를 말한다. 깨달음을 이야기할 때 중도를 깨달았다고도 한다.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중도의 의미에 대해서 성철 스님 법문 내용을 토대로 요약해 보겠습니다. 중도는 불교의 근본 사상이다. 중도라는 것은 모순이 융합되는 것을 말한다. 모순이 융합된 세계를 중도의 세계라 한다. 세상의 이치는 모두 상대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과 악, 옳고 그름, 있음과 없음, 괴로움과 즐거움, 이렇게 모든 것이 서로 상대적인 대립을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해 현실 세계는 그 전체가 상대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자연히 이 현실 세계는 모순과 투쟁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 상대의 세계, 곧 양변의 세계에서는 전체가 모..
선정 뜻? 선정이란? 선정 뜻? 선정이란? 선정이란 흔히 참선하여 마음의 내면을 닦아 삼매경에 이르는 것을 뜻하거나 마음을 가다듬고 정신을 통일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는 불교수행법을 뜻한다. 돈오입도요문론이란 책에도 선정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이 나온다. 여기서는 성철스님의 돈오입도요문론 강설에서 설명하는 선정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근본을 닦으려면 어떤 법으로써 닦아야 합니까?" "오직 좌선하여 선정을 하면 얻을 수 있느니라." 우리가 진실로 마음을 잘 닦으려면 마음이 선정에 들어 고요하게 하여야 하며 요동치게 해서는 안 됩니다. 번뇌 망상이 자꾸 일어날 것 같으면 구름이 해를 가리듯이 진여 자성을 번뇌가 가려서 우리의 근본은 어둡지 않지만 진여 자성을 보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공부를 성취하려고 하..
깨달음, 견성, 성불, 구경각 뜻, 진여(眞如) 뜻 깨달음, 견성, 성불, 구경각 뜻, 진여(眞如) 뜻 참선수행을 해서 깨달음을 얻는 것을 깨쳤다는 표현을 하기도 하고 다양한 용어를 사용한다. 그중에서 견성 또는 성불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견성한다는 말을 다양한 용어로 설명할 수 있다. 견성한다는 말은 마음 닦는 공부를 하여 깨달음을 얻게 되는 체험의 경지를 말한다. 그리고 자기 본성을 보게 되는 것을 성불이라 한다. 그래서 깨달음을 얻어 자기 본성을 보는 것을 견성성불이라 하는 것이다. 자기의 본성을 불성이라고도 하기에 견성성불의 사전적 해석은 자기가 본래 갖추고 있는 불성을 깨달아 부처가 되는 것을 말한다. 견성이 곧 성불이고 성불이 곧 견성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견성한다는 것을 자성을 깨친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여기서 불성이나 자성..
명상 자세-"발저릴때 발바꿔도 되나?""자세바꿔도 되나?" 명상 자세-"발 저릴 때 발 바꿔도 되나?""자세 바꿔도 되나?" 보통 명상이나 참선을 할 때 자세는 결가부좌나 반가부좌 자세로 앉는다. 결가부좌나 반가부좌로 앉은 다음 척추와 목을 곧게 펴고 입을 다문 상태에서 혀끝을 입천장에 살며시 댄다. 이것이 기본이 되는 명상 자세로 알려져 있다. 결가부좌 자세는 앉은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구부려 반대쪽 허벅지에 깊숙이 올리고 반대쪽 다리를 그 위에 올려놓는다. 반가부좌 자세는 한쪽 다리를 들어 다른 쪽 다리 위에 얹고서 앉는 방법이다. 평좌는 두 발이 바닥에 닿게 앉는 방법으로 다리가 겹치지 않아 눌리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이 세 가지 자세 중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하면 된다. 바닥에 앉는 것이 불편하면 의자에 앉아서 해도 좋다고 본다. 바닥에 앉아서 명상을 오..
명상과 음식-불교에서 오신채를 금하는 이유? 명상과 음식-불교에서 오신채를 금하는 이유? 가공식품보다 채식을 위주로 한 신선한 채소나 영양가가 있는 음식을 먹으면 건강에 좋다. 명상은 몸을 맑게 하는 행위다. 그래서 음식도 몸을 맑게 하고 파동을 좋게 하는 음식을 먹으면 명상하는데 당연히 더 좋을 것이다. 그래서 채소나 과일 같은 신선한 음식들을 권하고 명상을 해서 몸을 맑게 하면, 자연히 신선하고 건강한 음식들을 몸에서 더 찾고 원하게 된다. 고기를 무조건 금하고 채소만 먹어야 한다기보다 고기를 먹으면 기운이 탁해지고 정신이 맑아지지 않기에 몸 건강에 꼭 필요한 만큼만 먹거나 채식이나 건강식 위주로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상을 해서 몸이 맑아지면 육식을 자연히 멀리하게 되고, 채소조차도 체질이나 몸에 맞지 않는 것들은 멀리하게 된다는 것..
제8식, 아뢰야식, 말나식, 무의식, 잠재의식 뜻 제8식, 아뢰야식, 말나식, 무의식, 잠재의식 뜻 명상과 관련된 책이나 불교와 관련된 책을 보면 8식, 아뢰야식과 같은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그 뜻을 알아보자. 아뢰야식이란 대승 불교 중 유식학파의 핵심 개념이다. 유식학파에서 유식(唯識)이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로서 우주의 온갖 사물은 오직 인식하고 식별하는 마음의 작용에 존재함을 뜻한다. 이 학파에서는 인간이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여 자신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인간이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8단계 가운데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인식의 세계를 아뢰야식이라고 했다.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 이 여섯 가지를 통한 마음 작용을 의식 또는 6 식이라 한다. 그런데 대승 불교 중 유식학파에서는 마음의 심층에서 6식에 영향을 ..
명상과 최면, 트랜스 상태? 명상과 최면, 트랜스 상태? 명상이나 최면 상태에 대해 이야기할 때, 트랜스 상태에 들어간다라는 표현을 쓰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트랜스 상태라는 것이 무엇이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안다면 명상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트랜스 상태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트랜스라는 용어는 비정상적인 각성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고 외부 자극에 완전히 반응하지 못하면서도 목표를 추구하고 현실화할 수 있거나, 트랜스를 유도한 사람이 있는 경우 이 사람의 지시를 따르는 것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상태이다. 트랜스 상태는 비자발적으로 그리고 예상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다. 트랜스는 무언가에 몰입하거나 최면 상태에 있거나 명상에 집중할 때 나타난다. 그리고 기도하거나 무..
차크라 란? 차크라의 위치와 특성 차크라 란? 차크라의 위치와 특성 차크라(Chakra)는 산스크리트 용어로 원 또는 바퀴를 의미한다. 차크라 명상도 있고, 차크라라는 용어는 명상이나 요가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차크라는 인간의 감각과 마음, 감정, 신체 기능을 지배하고 있는 에너지 센터라고 한다. 차크라는 인간이 지니고 있는 우주의 생명력과 영적 에너지를 각성시킨다. 차크라를 통해 에너지를 받아 전달하고 정신적 힘과 신체기능의 조절을 차크라가 담당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크라의 작용을 통해 영혼과 육체를 통합시켜 준다고 한다. 우리 몸에는 척추를 따라서 머리 위 정수리까지 늘어서 있는 7개의 주요 차크라는 우리 몸과 마음에 긴밀한 연관 작용을 하고 있다. 7개의 빨주노초파남보의 무지개 색깔은 각각의 차크라..
호오포노포노 명상 호오 포노 포노 명상 호오 포노 포노는 고대 하와이 인들이 용서와 화해를 위한 해결법으로 행해진 것이다.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기억을 해방시키기 위한 하와이의 전통적인 문제 해결법이다. 호오 포노 포노는 하와이어로 호오는 목표를 뜻하고 포노 포노는 완벽함을 뜻한다. 즉, 완벽을 목표로 수정을 하는 것으로 잘못을 바로잡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모든 문제는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자신의 내면에 있는 신성의 지혜와 연결하여 본연의 삶으로 돌아가는 프로그램이 바로 호오포노포노이다. 미안합니다. 용서하세요.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