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바디 스캔 명상 (Body Scan) 바디 스캔 명상 (Body Scan) 바디스캔 명상은 마음 챙김 명상의 대표적 방법 중 하나이다. 바디스캔 명상은 몸의 감각을 알아차리고, 몸을 이완시키는 명상이다. 바디스캔은 말 그대로 몸을 스캔하듯이 보는 것이다. 바디스캔 명상의 시작은 우선 몸에 힘을 빼고 몸을 편안하게 이완한다. 누운 상태로 해도 되고, 앉아서 해도 된다. 몸에 더 집중하기 위해 먼저 눈을 감고 몸을 편안하게 한다. 머리 끝, 발끝, 손끝, 온몸의 긴장감을 내려놓고, 힘을 뺀다.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끝까지 내뱉으면서 호흡에 집중하며 천천히 심호흡을 한다. 그런 다음 자신의 몸에 집중하면 몸에서 점차 세세한 감각들이 느껴진다. 몸의 감각에 집중하면서 그때그때 일어나는 감각들을 알아차린다. 느껴지는 감각을 알아차리고 있는 그대로 .. 명상과 카르마 명상과 카르마 흔히들 명상을 하면 카르마가 녹는다고 한다. 카르마는 업이라고 하기도 한다. 카르마의 사전적 의미는 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선악의 소행 또는 그로 인해 현세에서 받는 업보라고 한다. 명상을 하면 카르마가 자연히 녹아 없어진다는 것일까? 자연히 녹아서 업보를 받지 않고 피해 가는 것일까? 이런 생각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명상이나 수행을 하면 크게 받을 과보를 작게 받기도 하고 현실에 나타날 좋지 않을 일들을 안 좋은 꿈으로 대신한다는 말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카르마가 녹으려면 우선 자신이 변화해야 한다. 명상을 통해 어떻게 자신이 변화하게 되는지 알아보자. 명상이나 수행을 하면 당장 복이 찾아오고 마음의 평화가 찾아오지 않는다. 우선 명상을 하면 나 자신을 전보다는 더 알게 된다. 왜냐.. 마하시 사야도의 위빠사나 수행법 마하시 사야도의 위빠사나 수행법 위빠사나 수행이란 자기 안에 존재하고 있는 물질 현상들과 정신 현상들을 사실대로 바르게 알기 위해서 수행하는 것이다. 물질 현상이란 지금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것들이다. 분명하게 볼 수 있는 몸 전체가 물질의 집합, 즉 물질 현상들이다. 정신 현상이란 알고 있는 마음이다. 이러한 물질과 정신 현상들은 사물을 볼 때마다 분명하게 생겨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물질과 정신 현상들을 바르게 알 수 있도록 주시하고 알아차려야 한다. 주시하고 알아차린다는 것은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지혜롭게 집중해서 대상에 마음을 두는 것, 꿰뚫는 것을 말한다. 소리가 귀에 들릴 때마다 들림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코에서 냄새를 맡을 때에도 냄새 맡음으로 알아차려야 한다. 혀에서 맛을 알 때에도 앎.. 걷기 명상 방법 걷기 명상 방법 걷기 명상은 마음 챙김 명상 방법의 하나로 걸으면서 변화되는 신체적 감각이나 느낌을 알아차리는 명상이다. 걸으면서 내가 걷고 있음을 알아차리는 것으로 현재 걷고 있는 순간만을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한 결음, 한 걸음을 느끼고 알아차리는 것이다. 자신의 걸음에 집중하며 자신이 어떻게 걷고 있는지를 집중해서 살펴보고 알아차린다. 자신의 발이 땅에 닿는 것을 느끼고 발과 땅 사이의 접촉을 느끼고 알아차리면서 걸어보는 것이다. 걷기 명상을 경행이라고도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느끼며 알아차려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마하시 사야도의 위빠사나 수행방법을 참고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행을 할 때 발에 마음을 집중하여 '간다'로 생각하며 알아차린다. 혹은 오른발, 왼발로 알아차린다. 그렇지 않으.. 마음챙김 명상-Mindfulness(알아차림 명상)으로 무의식 바꾸기 마음 챙김 명상-Mindfulness(알아차림 명상)으로 무의식 바꾸기 우리가 살아가면서 하는 행동은 무의식의 작용을 받는다. 그래서 의식적으로 선택하고 행동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는 무의식의 작용을 받아 습관적으로 늘 해오던 대로 선택하고 행동하면서 살아간다. 우리의 무의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지 못하면 삶은 정해진 대로 흘러가게 된다. 그러나 마음 챙김 명상을 통해 이 순간순간을 알아차리고 현재를 느끼게 되면 무의식적으로 습관적으로 일상적으로 틀에 박힌 루틴대로 행동하던 것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명상을 통해 현재를 알아차리고 바로 지금 이 순간 현존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마음 챙김 명상은 초기 불교의 수행 전통에서 유래한 명상 수행법 중 하나로 알아차림 명상이라고도 하고 마인드풀니스(Mindf.. 사마타와 위빠사나-알아차림 명상 사마타와 위빠사나-알아차림 명상 위빠사나 뜻 초기불교에서 행해진 수행법이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이다. 위빠사나란 산스크리트어로 위(Vi)라는 단어와 빠사나(Passana)란 두 개의 단어가 결합된 것이다. 위(Vi)는 모든 것, 다양한, 전부란 뜻이고, 빠사나(Passana)는 꿰뚫어 보다. 똑바로 알아라는 뜻으로 위빠사나는 모든 것을 이해하고 꿰뚫어 본다는 말이다. 마음을 관찰하는 알아차림 명상 효과 명상 수행을 잘하면 계발할 수 있는 2가지가 있다. 첫 째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집중하게 해 주는 고요한 마음과 두 번째는 통찰력을 얻게 된다고 한다. 마음을 안정시키고 집중하는 것이 사마타 수행이고, 통찰력을 얻는 수행이 위빠사나다. 사마타 명상 사마타는 집중명상 또는 고요히 머무는 명상인데 즉 선정력을 .. 만트라(Mantra)명상, 진언 명상 만트라(Mantra) 명상, 진언 명상 만트라(Mantra)는 Mantram 또는 진언(眞言:참된 말, 진실한 말, 진리의 말)이라고도 한다. 만트라는 사전상 의미로 힌두교와 불교에서 신비하고 영적 또는 물리적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는 발음, 음절, 낱말 또는 구절이라고도 하고 밀주(密呪) 또는 다라니라고도 한다. 만트라의 용도와 종류는 해당 만트라를 사용하는 종교 및 철학 학파에 따라 다양하다고 한다. 만트라 종류 중 대표적인 것으로 힌두교, 불교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진언인 성스러운 음절인 '옴'이다. 만트라를 암송하는 만트라 명상법은 티베트 불교에서 많이 쓰인다. 만트라를 암송하면서 마음을 만트라 즉 진언 소리와 하나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만트라는 산스크리트어로 '자유롭게 해 주고 보.. 호흡 명상 방법과 효과 호흡 명상 방법과 효과 여러 가지 명상 중에서 가장 쉽고 많이 하는 명상이 호흡 명상이다. 간단하게 한마디로 말하면 그냥 앉아서 호흡을 관찰하는 것이다. 그래도 좀 더 자세하게 호흡 명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호흡명상 방법 1. 명상하기 전에 가능하면 편한 옷을 입고 간단하게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주고 몸과 마음을 이완시켜 준다. 2. 명상하는 자세는 결가부좌, 반가부좌(한족 발을 다른 다리 위에 올리기), 평좌(다리가 겹치지 않게 두 발을 땅에), 의자에 앉기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허리를 곧게 펴고 앉는다. 3. 손은 손바닥을 양 무릎에 얹어도 되고, 손바닥이 위로 가게 놓거나, 두 손을 편안하게 모으거나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취해 준다. 4. 숨을 깊이 .. 명상이란? 명상과 참선의 효과, 차이 명상이란? 명상과 참선의 효과, 차이 명상이란? 명상은 국어사전 상으로 정의하면 눈을 감고 차분한 마음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이라고 한다. 명상을 하면 마음을 깨끗이 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줄이고, 마음을 단련시킬 수 있다. 그래서 과도한 경쟁과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현대인들이 마음을 다스리기 위한 수단으로 행해지고 있다. 명상은 특히 의학, 심리학, 뇌과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고, 그 효과가 증명되고 있다. 그래서 대체 의학, 심리치료의 목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과학적으로 뇌와 명상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두뇌의 파장 등을 검증하여 이것이 두뇌 및 신체 호르몬에 주는 영향 등이 논문으로 발표되었고, 더 많은 연구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서양의 유..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