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4)
제8식, 아뢰야식, 말나식, 무의식, 잠재의식 뜻 제8식, 아뢰야식, 말나식, 무의식, 잠재의식 뜻 명상과 관련된 책이나 불교와 관련된 책을 보면 8식, 아뢰야식과 같은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그 뜻을 알아보자. 아뢰야식이란 대승 불교 중 유식학파의 핵심 개념이다. 유식학파에서 유식(唯識)이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로서 우주의 온갖 사물은 오직 인식하고 식별하는 마음의 작용에 존재함을 뜻한다. 이 학파에서는 인간이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여 자신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인간이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8단계 가운데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인식의 세계를 아뢰야식이라고 했다.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 이 여섯 가지를 통한 마음 작용을 의식 또는 6 식이라 한다. 그런데 대승 불교 중 유식학파에서는 마음의 심층에서 6식에 영향을 ..
명상과 최면, 트랜스 상태? 명상과 최면, 트랜스 상태? 명상이나 최면 상태에 대해 이야기할 때, 트랜스 상태에 들어간다라는 표현을 쓰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트랜스 상태라는 것이 무엇이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안다면 명상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트랜스 상태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트랜스라는 용어는 비정상적인 각성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고 외부 자극에 완전히 반응하지 못하면서도 목표를 추구하고 현실화할 수 있거나, 트랜스를 유도한 사람이 있는 경우 이 사람의 지시를 따르는 것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상태이다. 트랜스 상태는 비자발적으로 그리고 예상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다. 트랜스는 무언가에 몰입하거나 최면 상태에 있거나 명상에 집중할 때 나타난다. 그리고 기도하거나 무..
차크라 란? 차크라의 위치와 특성 차크라 란? 차크라의 위치와 특성 차크라(Chakra)는 산스크리트 용어로 원 또는 바퀴를 의미한다. 차크라 명상도 있고, 차크라라는 용어는 명상이나 요가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차크라는 인간의 감각과 마음, 감정, 신체 기능을 지배하고 있는 에너지 센터라고 한다. 차크라는 인간이 지니고 있는 우주의 생명력과 영적 에너지를 각성시킨다. 차크라를 통해 에너지를 받아 전달하고 정신적 힘과 신체기능의 조절을 차크라가 담당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크라의 작용을 통해 영혼과 육체를 통합시켜 준다고 한다. 우리 몸에는 척추를 따라서 머리 위 정수리까지 늘어서 있는 7개의 주요 차크라는 우리 몸과 마음에 긴밀한 연관 작용을 하고 있다. 7개의 빨주노초파남보의 무지개 색깔은 각각의 차크라..